본문 바로가기
게시판

편재란?

by 그림작가 2022. 7. 13.

자꾸만 그림으로 그려서 공부하여야 하는데 귀찮아서 안 그리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공부하는 방식이 라는 무의식 에너지이라는 언어에너지로 변환되어서 인식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토극수 하는 무의식 에너지를 논리적으로 인식할 수도 있습니다.

제가 공부하는 부분을 을목, 병 화적인 에너지 그림, 이미지로 변환을 하려는 부분은 제 뇌에서 그러한 부분까지 변환시키려는 부분도 있고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그러한 부분을 가장 인식을 편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입니다.

 

나와 재성의 관계

사주에는 오행이 있습니다.

크게 음양으로 보면 세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세계는 재성관성이라는 음양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극한다는 개념을 언어로 어떻게 변환할지가 중요합니다.

여기서 극한다는 개념은 컨트롤한다. 제어한다. 는 개념으로 치환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비겁만 강하고 식상 없이 재를 극하면 훔치다, 파괴하다 이런 느낌이 됩니다.

반대로 재성만 강하고 신약 하다면 은행원으로서 돈만 열심히 세고 있는 것이 됩니다.

그래서 어느 정도의 오행의 생과극의 밸런스가 맞아야지 균형 잡힌 삶을 살 수 있습니다.

 

편재

정재와는 다르게 음양의 같음에서 오는 불균형

키워드:즐거움, 유흥, 큰돈, 유통, 주식, 도박

 

편재는 돈의 스케일이 크다. 그 돈이 사회의 돈이기 때문에

큰 사업, 펀드매니저, 도박 등등의 돈을 크게 만지는 직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편재성이 크다는 것은 그러한 편재에 위치한 영역의 분석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역시나 아무리 분석이 뛰어나도 끌고 오는 것은 비겁 과 인성으로 인한 신강의 조건이 무조건 붙는다.

편재가 즐거움의 영역인 것은 개인에게는 행복인 것 같다. 비겁과 식상이 같이 있다면 프로게이머나

방송 bj 같은 자신이 좋아하는 영역에서 자신만의 콘텐츠로 업을 하는 결과로 이어지니 말이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성기학 곤궁  (0) 2022.07.14
구성기학 건궁  (0) 2022.07.14
정재란?  (0) 2022.07.07
구성기학을 공부하는 이유?  (0) 2022.06.28
인해합  (0) 2022.06.21

댓글